일단 건물번호는 도로명 주소 뒤에 붙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82
라는 것에서 82라는 숫자가 바로 그것 입니다. 이 숫자는 메인 출입구 위치를 기준으로 붙여지게 됩니다. 20m씩 나눠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 번호를 이용합니다. 그래서 건물의 위치를 대강 알수있게 되는것이지요.
건물번호 검색 방법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검색창에다가 건물명과 지번을 입력하면 쉽게 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것 이용할 필요도 없습니다. 네이버에다가 검색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활용할수 있습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한번만 해보시면 다음에는 자연스럽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에서도 쉽게 확인할수 있죠.
네이버 지도 들어가서 원하는 곳에서 우클릭을 한 다음에 '이 위치의 주소는?'을 클릭을 하게 되면 도로명 기준으로 즈소가 나오게 됩니다. 다른 블로그를 검색을 해보았는데, 이것보다 더 쉬운방법은 없는것 같습니다.
새로 지은 건물이나 리모델링한 상가에 가보면, 네이버 지도나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에서 주소가 안 나올 때가 있습니다. 이건 아직 주소 부여 절차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건물이 완공되면 ‘건축물대장’이 만들어지고, 그 다음에 도로명주소가 부여됩니다. 그런데 이 과정이 행정 절차와 데이터 반영 기간 때문에 1~2주, 길면 한 달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바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교육청 구인구직 일자리포털 이용하기 (0) | 2025.07.16 |
---|---|
한국전력 고객센터 전화번호 안내 (0) | 2025.07.15 |
gs홈쇼핑 고객센터 전화번호 안내 (0) | 2025.07.14 |
netflix.com/verifyage 인증 방법 (0) | 2025.07.12 |
SKT 컬러링 듣기 (자신것 확인하기)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