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현재 아이폰을 쓰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안드로이드를 이용했고 당시에 이것저것 커스텀하고 세세한 설정을 손보는 재미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그런 작업이 점점 번거롭게 느껴졌고, 결국 안정성과 단순함을 택해 아이폰으로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만족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불편 중 하나는 바로 교통카드 기능의 제약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모바일 티머니 앱 하나만 설치하면 스마트폰으로 바로 지하철과 버스를 탈 수 있었던 반면, 아이폰에서는 실물 카드나 별도의 대체 수단을 이용해야만 해서 아쉬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에 따른 모바일 티머니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에서의 모바일 티머니 사용법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Google Play 스토어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한 뒤, 기기의 NFC 기능을 활성화하면 스마트폰을 실물 교통카드처럼 쓸 수 있습니다. 앱에서는 ‘선불형’ 또는 ‘후불형’ 을 선택할 수 있는데, 선불형은 미리 금액을 충전해 사용하는 방식이며, 후불형은 신용카드를 연동해 사용한 금액이 매달 청구되는 방식입니다. 특히 후불형의 경우 신용카드 교통비 할인 혜택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NF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가볍게 태그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편의점이나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티머니 결제가 가능합니다. 앱에서는 충전, 사용 내역 확인, 소득공제 신청, 마일리지 적립 등 다양한 부가 기능도 함께 이용할 수 있어 실물 교통카드보다 훨씬 편리합니다.
아이폰에서의 모바일 티머니 사용법
아이폰 사용자도 App Store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할 수 있지만, iOS의 구조적인 보안 정책 때문에 NFC 기반의 실시간 교통카드 결제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즉, 휴대폰만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탈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아이폰 사용자들은 별도로 구매 가능한 ‘티머니 스티커 카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카드를 아이폰 뒷면에 부착하면 실물 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태그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별도로 스티커같은것을 이용하는것이 조금은 볼품없기는 하지만, 그래도 필요하다면 이렇게라도 해야하죠.
또한 모바일티머니 앱은 일부 기능만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공제 등록이나 마일리지 적립, 일부 택시나 편의점에서의 QR 또는 바코드 결제 등은 가능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이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실물 카드나 스티커 카드의 보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ㄴ
'바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 파일 여는 방법 (0) | 2025.04.11 |
---|---|
대한민국 남자 평균키 체크해 보면서 (0) | 2025.04.09 |
경작사실확인서 양식 다운로드 (농어업인 수당 신청) (0) | 2025.04.09 |
아이소리몰 구인구직 안내 (0) | 2025.04.09 |
너스케입 커리어 안내 (0) | 2025.04.08 |